랜카드
- pc 또는 네트워크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상호 교환
- 랜카드 실행 순서
1. pc서 전송요구 발생
2. 랜카드는 정보를 일정한 형태로 만들어 전송
3. 랜카드는 만들어진 정보를 버퍼에 저장
4. 네트워크에 맞는 형태로 변경 후 전송
허브
- 물리계층에서만 동작하는 장치(리피터 또한 물리계층 장비)
- 데이터는 신호감쇠가 데이터 무결성을 훼손하기 전까지 고정된 거리 이동 가능
- 리피터는 신호가 약하거나, 훼손되기 전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 비트 형태로 재생, 증폭 후 새롭게 생성된 신호 전송
- 과거에는 버스형 토폴리지를 사용하여 거리 극복을 위해 리피터 사용
- 오늘날은 스타형 토폴리지를 사용하여 리피터는 증폭 외 연결지점으로 사용(오늘 날 허브는 다중포트 장치)
- 허브는 필터링 기능이 없으며 프레임에 대한 인지능력도 없다.
브리지
- 2계층(데이터링크)에서 동작(MAC주소(48bit) 기반 스위칭,)
- 하드웨어 주소 기반으로 전송할 포트 결정
- 리피터와 달리 프레임에 대한 인지능력이 있음
- 브리지는 네트워크 확장, 네트워크 통신 격리 시키기 위해 사용
- 브리지는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충돌 도메인을 나누기 위해 사용
- 네트워크 통신 격리 → 보안성 ↑
스위치
- 리피터+ 브리지(브리지의 내장회로 지능 + 리피터의 증폭기능)
- 다중포트 장비
- 스위치에서 특정포트 모니터링 하려면 모니터링 포트, 탭 장비 통해 패킷 복제해서 트래픽 분석
- 스위치 종류
1. 2계층 스위치(데이터 링크)
- MAC주소를 학습해 스위칭 테이블 생성ㆍ갱신
- 프레임을 전송
2. 3계층 스위치(네트워크)
- 하드웨어를 사용한 라우터의 형태 → 라우팅 스위치라고 함
- 크로스바 스위치 같은 ASIC 스위치 기술 이용
3. 4계층 스위치(전송)
- 포트번호를 기준으로 패킷을 전송
- 전송계층의 포트번호를 통해 응용계층 서비스 구분
- 0 ~1023번 포트(잘 알려진 포트)만 인식
- 네트워크 암호화, app 프로토콜에대한 패킷 필터링에 주로 사용
- 서버의 부하에 따라 세그먼트 분배 → SLB
- SLB는 가상서버 부분, 실 서버 부분으로 나눌 수 있음
- SLB의 기능
1. 부하분산 기능
2. 상태확인 기능
3. 세션유지 기능
4. 7계층 스위치(응용계층)
- 세션 계층과 응용계층(5~7)의 데이터 영역 분석, 응용 세션 제어 가능
- 모든 포트번호도 인식이 가능
- 4계층 스위치와 7계층 스위치의 차이
4계층 스위치 : 포트 정보 분석해 패킷이 사용하는 서비스 종류별로 패킷 처리
7계층 스위치 : 트래픽의 내용패턴을 분석해 패킷 처리
- 스위치 방법에 따른 분류
1. store-and-forward 2. cut-through 3. fragment-free
1. store-and-forward
- 일단 들어오는 모든 프레임을 전부 받아들인 다음에 처리하는 방식
- 에러 발견 시 즉시 스위치는 프레임을 버리고 재전송 요구 → 에러복구 능력 뛰어남
2. cut-through
- 앞에 들어오는 목적지 주소만 확인 후 바로 다음 목적지로 전송
- 처음 48bit만 확인
- 처리속도 빠름
- 에러복구능력은 약하다
3. fragment-free
- store 방식과 cut 방식의 장점만 결합한 방식
- 프레임이 다 들어올 때 까지 기다릴 필요 없고 512비트를 확인해 전송
- 에러감지능력이 cut방식보다 뛰어남
라우터
- 3계층 장비로써 이기종간 LAN 연결, LAN과 WAN 연결, 효율적인 경로 라우팅, 에러 패킷 폐기 기능 수행
-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팅과 멀티캐스팅 패킷을 차단 → 회선의 효율적 처리 가능
- 라우터는 ACL(접근제어목록)의 기반을 두어 필터링
-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변경 정보 발견
- 라우터와 리피터의 차이
1. 라우터는 물리주소와 논리주소를가짐
2. 라우터는 목적지주소와 인터페이스 주소가 일치하는 패킷만 처리
3. 라우터는 패킷 전달시 링크계층 주소(MAC)을 변경
- 라우터와 리피터의 차이
브리지 |
라우터 |
헤더정보를 읽기는 가능, 변경은 불가 |
각 프레임에 새로운 헤더 생성 |
MAC 주소 기반해 테이블 작성 |
IP주소 기반 테이블 작성 |
모든 포트에 동일한 IP주소 |
포트마다 다른 IP주소 사용 |
MAC 주소 기반 필터링 |
IP주소 기반 필터링 |
브로드 캐스트 패킷을 전달해줌 |
브로드캐스트 패킷, 멀티캐스트 패킷 전달x |
브리지에게 알려지지 않는 목적지 주소 가진 트래픽도 전달 |
라우터에게 알려지지 않는 목적지 주소 가진 트래픽은 전달 x |
개이트웨이
- 서로 다른 환경을 연결하는 장비에서 샐행되는 소프트웨어
- 서로 다른 네트워크 사이 데이터 형식을 변환해줌
- 모든 계층을 포함하여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
VLAN
- 네트워크를 물리적이 아닌 소프트웨어로 구성한 가상의 근거리 네트워크
-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
- VLAN은 스위치에서만 지원
- VLAN이 구성, 상호호환되기 위해서는 태깅이 이루어져야함(IEE.802.1Q)
- VLAN을 사용하면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 물리적인 구성을 바꿀 필요가 없다.
-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에 대해 동일한 그룹이 아니면 전달을 하지 않는다.
- VLAN은 관리자가 서로 다른 논리적 그룹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보안정책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 VLAN의 종류
1. 포트기반 VLAN
- 스위치 포트를 각 VLAN에 할당
- VLAN에 속한 포트에 연결된 호스트 간에만 통신 가능
- 가장 일반적이고 많이 사용
2. MAC 기반 VLAN
- 호스트의 맥 주소를 VLAN에 등록해 같은 VLAN에 속한 맥 주소간에만 통신이 되도록 함
- 각 호스트의 맥 주소를 전부 등록해야 하므로 많이 쓰이지 않음
3. 네트워크 주소 기반 VLAN
- 네트워크주소별로 VLAN 구성
-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들 끼리 통신이 가능하게 함
4. 프로토콜 기반 VLAN
-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호스트들 간에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
5. 멀티캐스트 IP 기반 VLAN
6. 조합방식
- VLAN의 장점
1. 경비와 시간 절약
2. 가상 워크그룹 생성 - 같은 그룹에 있으면 같은 위치가 아니어도 메시지 주고 받는게 가능
3. 보안 - 같은 그룹이 아니면 메시지 수신 불가
'보안기사 >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 자격증(알기사, 네트워크 관리) (0) | 2019.02.06 |
---|---|
기사 자격증(알기사, 무선장비 보안) (0) | 2019.02.04 |
기사공부(알기사, 라우팅) (0) | 2019.02.01 |
기사 자격증(알기사, TCP/IP) (0) | 2019.01.31 |
기사 자격증(알기사, 네트워크 개요) (0) | 2019.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