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간으로 2월 14일 미국 주식계의 거물들의 주식 포트폴리오가 공개되었다.오늘은 13F가 무엇인지, 이번 주식 거물들이 어떤 주식들을 담았는지 한 번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다.1. 13F란?정식 명칭 : From 13F(Information Required of Institutional Investment Managers)법적 근거 : 1934년 증권거래법 섹션 13(f)제출의무자 : 미국 상장 주식을 1억 달러 이상 운용하는 기관 투자자대상기관 : 은행, 보험사, 연기금, 뮤추얼펀드, 헤지펀드 등 전문 투자기관2. 13F 제출의 필요성주된 목적 : 기관투자자들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시장 투명성 확보시장 감시 : 대형 기관들의 과도한 지분 집중 모니터링투자자 보호 : 기관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를 공개..
1. 서론오늘 유튜브를 보다가 재미있는 유튜브를 보게 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tnWs9Z6d9rc 월텍남님께서 딥시크의 출현이 미국 AI 기업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지 새로운 관점에서 설명해 주는 유튜브이다.지금 시장에서는 딥시크가 미국 AI 기업들의 1/10 가격으로 우수한 성능을 가진 인공지는 챗봇을 만들었다고 말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각종 AI 기업들과 인프라 기업들의 주가가 많이 떨어지게 되었다.하지만 이 영상에서는 딥시크가 실제로는 개발에 들어간 비용이 비현실적이라고 말을 하고 있다.또한 이번 영상에서 AI의 스케일링 법칙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했다고 하였는데 그래서 오늘은 AI 스케일링 법칙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2. AI 스케일링 법칙이란?인공..
1. 서론현재 AI 국가에 가장 많이 투자하고 있는 나라를 생각하면 당연히 미국을 떠올릴 것이다.지금 떠올리는 기업이라고 하면, 메타, 구글, 마이크로 소프트 등등 여러 기업이 있고, 엔비디아, 브로드컴과 같이 AI 인프라 기업들이 떠오를 것이고, 나 또한 미국이 AI의 패권을 쥐고 있다고 생각했었다.하지만 최근 충격적인 뉴스가 발표되었다.https://www.hani.co.kr/arti/economy/global/1179815.html 중국 개발 ‘가성비 최강’ AI 등장에…미국 빅테크 ‘패닉’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빅테크 연구비의 10%를 들여 개발한 ‘인공지능’이 실리콘밸리를 위협하고 있다. 딥시크와 마찬가지로 오픈소스형 인공지능을 만드는 메타(옛 페www.hani.c..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