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정리하게 된 이유
경제 유튜브를 보다가 2025 1분기에 RRP 소진이 되면 경제위기가 올 수 있다.라는 소리를 들었다.
근데 RRP랑, RP가 뭔지 몰랐던 나는 조금 찾아보았고, 내가 이해한 바를 가지고,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2. 레포(Repo, RP)란?
먼저 간단한 예시로 설명을 해보려 한다.
더보기
친구에게 100만 원을 빌리면서 패딩을 맡기고, 일주일 뒤에 101만 원을 주고, 패딩을 돌려받기로 했다.
매우 간단하게 설명하였지만, 이게 바로 레포(Repo)의 기본 개념이다.
레포의 정식명칭은 'Repurchase Agreement(환매조건부채권)'이다.
쉽게 설명하면, '돈이 필요한 사람이 자신이 가진 채권을 담보로 맡기고, 나중에 이자와 함께 돈을 갚으면서 맡긴 채권을 다시 가져가는 거래'이다.
3. 역레포(Reverse Repo, RRP)란?
역레포란 이름만 들어도 이해하기 쉽겠지만 레포의 반대말이다.
자금 운용자가 일시적으로 증권을 매수했다가, 약정된 미래시점에 다시 매도하는 거래로 실질적으로 담보를 받고 돈을 빌려주는 형태이다.
4. RP / RRP가 필요한 이유는?
그렇다면 RP/ RRP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1. 안전한 자금 거래
- 돈을 빌려준 사람은 담보가 있기에 안전하게 돈을 빌려줄 수 있음
- 정해진 기간과 금리로만 거래됨
2. 효율적인 자금 관리
- 단기로 여유자금을 활용할 수 있음
- 긴급자금이 필요할 때 유용함
5. RP / RRP를 활용하는 곳은 어디일까?
1. 은행
- 주요 목적
- 단기 유동성 관리
- 지준금(은행이 고객의 예금 중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예치하거나 현금으로 보유하는 자금) 조절
- 활용예시
- 일시적으로 자금부족 시 RP로 자금을 조달함
- 여유자금 운용 시 RRP 활용을 통해 추가적인 수입 창출
2. 증권사
- 주요 목적
- 트레이딩 자금 조달
- 고객 RP 상품 운용
- 채권매매 자금 확보
- 활용예시
- 채권매수 시 RP를 통한 레버리지
- 고객 자금 운용을 위한 RRP
3. 보험사
- 주요 목적
- 일시적 자금운용
- ALM(자산부채관리, 자산과 부채의 최적 조합을 유지함으로써 시장 위험과 유동성 위험에 대한 노출을 최소)
- 수익률 제고
- 활용예시
- 보험금 지급 대비 단기자금 운용
- 자산운용 수익률 개선
6. 중앙은행의 역할과 활용
1. 통화정책 수단으로써 RP/ RRP
- 공개시장운영의 주요 수단
- 시중 유동성 미세조정
- 금리 안정화 도구
2. 구체적 활용방식
- 유동성 공급(RP)
- 시중은행에 자금 공급
- 금리 하향 안정화
- 경기부양 효과
- 유동성 흡수(RRP)
- 시중 통화량 감소
- 유동성 조절
- 금리전달경로 확보
7. RRP 잔고 소진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RRP 소진이란?
- 금융시장의 비상금고가 바닥나는 현상
- 평소에는 은행들이 여유자금을 RRP로 보관하고 있음
- 이 자금이 줄어든다는 것은 시장의 여유자금이 부족해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음
2. 주요 영향과 위험
- 돈의 흐름이 막힐 수 있음
- 은행들은 여유자금이 부족하기에 서로 돈을 빌려주기를 꺼려함
- 이로 인해 대출 시 대출이자가 비싸지며, 기업이나 개인이 대출받기가 어려워짐
- 금리의 불안정성
- 금리가 롤러코스터처럼 오르고 내리는 게 반복됨
- 예금/대출 금리 예측이 어려워짐
- 기업들의 자금계획이 어려워짐
- 금융시장의 불안
- MMF(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수익률이 떨어짐
- 은행들이 자금운용에 어려움을 겪음
- 전체 금융시스템이 불안해질 수 있음
3.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기업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이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짐
- 투자할 돈이 없기에 신규투자를 미루게 됨
- 추가적으로 직원 채용이 줄어들 수 있음
- 일반 가계에 미치는 영향
- 대출이 잘 안 되다 보니, 대출 금리 또한 상승하며, 대출이자 부담이 증가함
- 이에 따라 소비 감소
- 주식/펀드 수익률 하락
- 금융시장 영향
- 주식시장이 불안정해짐
- 채권 가격이 출렁임
- 안전자산 선호현상 증가
반응형
'자기 계발 > 경제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채 금리 상승과 하락,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5.01.07 |
---|---|
옵션 만기일이 다가오면 비트코인 가격이 요동치는 이유 (0) | 2025.01.04 |
일목균형표란? (1) | 2024.12.25 |
2024년 마지막 FOMC 결과 분석 (1) | 2024.12.19 |
AI의 4단계(인공지능의 발전 과정)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