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 떨어지기만 하던 주식이 금요일 엄청난 반등을 한 후 마감이 되었다.
특이한 점은 미시간 소비자심리 지수가 2년 만에 최저 수준인 57.9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저가매수세 유입과 트럼프가 조용했던 이유로 상승했다는 얘기가 많다.
그리고 차주 어마어마한 변동성을 가지고올 두 가지의 이벤트가 존재한다.
첫 번째로는 3월 20일 FOMC 금리결정이며, 두 번째는 3월 21 세마녀의 날이다.
오늘은 그 중에서 세마녀의 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한다.
1. 세마녀의 날이란?
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 개별 주식 옵션의 만기일이 겹치는 날을 의미한다.
3월, 6월, 9월, 12월 셋째 주 금요일에 발생하며, 변동성이 큰 만큼 주식 투자자들이 예의 주시하는 날이다.
- 주가지수 선물 : 특정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계약
- 선물 계약 : 미래에 매수 / 매도할 물품의 가겨은 현재 시점에서 고정하는 계약
- 주가지수 옵션 : 특정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옵션 계약
- 미래에 특정한 날짜에 특정한 기초자산을 사전에 정해진 가격으로 매수/ 매도할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
- 개별 주식 옵션 : 특정 개별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옵션 계약
이 세가지 파생 상품의 만기일이 겹치면서 시장 참여자들이 대규모 거래를 실행하게 되며, 이는 시장의 가격 변동성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세마녀의 이름은 1980년대 미국 월가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세 가지 파생상품(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 개별 주식 옵션)의 만기일이 동시에 겹칠 때 시장이 마치 마녀가 마법을 부리는 것처럼 혼란스럽고, 예측 불가능한 움직임을 보인다는 점에서 유래가 되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2. 세마녀의 날에 주식시장과 코인시장에는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일까?
1. 주식시장
1. 거래량 폭증
- 세마녀의 날에는 주식 가격이 평소보다 큰 폭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 특히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선물과 옵션 계약의 정산을 위해 매수 및 매도 주문이 급증하곤 한다.
- 예를 들어 S&P 500 지수 선물과 옵션 만기일에는 대규모 포지션 청산 및 롤오버가 발생하며, 이는 시장의 거래량을 단기적으로 폭발적으로 증가시킨다.
2. 가격 변동성 확대
- 세마녀의 날에는 주식 가격이 평소보다 큰 폭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 이는 옵션 만기와 관련된 델타 헤징(Delta Hedging), 감마 스큐(Gamma Skew)등의 기술적 요인 때문이다.
- 특히 옵션의 행사가격 근처에 있는 주식이나 지수는 만기일에 가격이 급격히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
3. 프로그램 매매 증가
- 세마녀의 날에는 프로그램 매매(알고리즘 매매)가 증가하게 된다.
- 대규모 기관 투자자들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선물, 옵션, 현물 시장 간의 차익거래를 수행하며, 이는 추가적인 변동성을 유발한다.
4. 시장 왜곡
- 세마녀의 날에는 특정 주식이나 지수가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 이는 투자자들이 옵션 만기일에 특정 가격을 목표로 시장을 조작하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이를 핀 리스크(Pin Risk)라고 부른다.
2. 코인시장
1. 리스크 온/오프 전환
-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투자자들은 리스크 자산(주식, 암호화폐 등)에 대한 태도를 변경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세마녀의 날에 주식시장이 급락하게 되면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자금을 회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
2. 유동성 변화
- 세마녀의 날로 인해 주식시장에 자금이 대규모로 이동하면,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유동성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특히 코인 선물과 같은 파생상품이 활성화된 시장에서는 주식시장과 유사한 변동성이 일어날 수 있다.
3. 심리적 영향
- 세마녀의 날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위험한 날로 인식되기 때문에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투자 심리가 위축 될 수가 있다.
3. 세마녀의 날 변동성이 왜 이렇게 심할까?
1. 파생상품의 만기일 효과
- 선물과 옵션의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기초자산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 특히 옵션의 행사가격 근처에서 매수/매도 압력이 집중되면서 변동성이 커진다.
2. 델타 헤징
- 옵션 트레이더들은 포지션을 헤지(Hedge)하기 위해 기초자산을 매수/매도를 한다.
- 예를 들어, 콜 옵션 매도자는 주가가 상승할 경우, 손실을 줄이기 위해 기초 자산을 매수해야 한다.
- 이러한 매수/매도 활동은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더욱 활발해지며, 시장 변동성을 증폭시킨다.
3. 감마 스큐
- 옵션의 감마는 기초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델타 변화율을 말한다.
-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감마 값이 커지며, 이는 트레이더들이 더 많은 거래를 실행하도록 만든다.
- 이 과정에서 시장의 가격 움직임이 비정상적으로 커질 수 있다.
4. 헤지 펀드와 기관 투자자들의 전략 조정
- 세마녀의 날은 헤지 펀드와 기관 투자자들이 기존 포지션을 정리하거나 새로운 포지션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 이로 인해 대규모 거래가 발생하며, 이는 시장의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결론
세마녀의 날은 주식시장과 암호화폐 시장 모두에서 거래량 변동성이 극대화되는 중요한 날이다.
주가 지수 선물, 옵션, 개별 주식 옵션의 만기일이 겹치면서 발생하는 대규모 거래는 시장의 방향성을 일시적으로 왜곡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급격한 가격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
그렇기에 단기 투자자들의 경우, 변동성이 큰 만큼, 손절선을 명확히 설정하며, 지나치게 공격적인 포지션을 피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장기 투자자들은 변동성이 단기적인 현상인 점을 인지하고, 일시적인 가격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마음이 중요할 것이다.
금요일에 주식이 반등을 하였지만, 정책적으로 주식시장에 변동성이 큰 현재, 3월 세마녀의 날은 전날 FOMC 금리 결정이라는 중요한 이벤트 때문에 더욱 더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이 되는 만큼, 현명한 투자 방법을 통해 버텨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자기 계발 > 경제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투자 정리 (6) | 2025.04.07 |
---|---|
지금이 조정장일까 하락장일까 판단하기 1 - KCFSI (1) | 2025.04.03 |
CPI 지수의 중요성과 투자 전략: 시장의 반전을 기대하며 (1) | 2025.03.11 |
트럼프 풋이란 무엇인가? 시장 안정화의 기대와 한계 (3) | 2025.03.05 |
2월 투자 정리 (2)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