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월 투자정리 글을 보면 3월에는 관세 위협과, 스테그플레이션 위험을 배제할 수 없어 최대한 침착하게 투자를 한다고 하였고, 실제로 3월에는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우량주 위주의 방어적 투자를 하였다.
그리고 현재 생각보다 강한 관세 정책에 지옥의 시간을 겪고 있는 나의 3월 투자 내역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해외주식 매수
티커 | 평단가 | 수량 | 현재가 | 수익률 | 총 순익 | 매매 사유 |
TSLA | $ 265.7 | 2 | $ 239.43 | -9.89% | -$52.5 | 1. 하반기에 몰려있는 호재 2. 로보틱스 관련 가장 앞서가고 있는 회사라고 생각 3. 6월에 발표되는 로봇택시에 대한 기대감 |
NVDIA | $ 115.24 | 7 | $ 94.31 | - 18.16% | -$146.5 | 1. AI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NVDIA 칩 수요 증가할 것으라는 믿음 |
BAC | $ 42.96 | 2 | $ 34.39 | - 19.5% | -$17.14 | 1. 트럼프의 금융 규제 완화에 따른 주가 상승 기대 |
RXRX | $ 6.84 | 2 | $ 7.71 | - 38.01% | -$ 5.2 | 1. AI 발전이 바이오 테크에 엄청난 발전을 가지고 올 것이라는 기대 2. NVDA와 전략적 파트너쉽 관계 |
HOOD | $ 45.37 | 4 | $ 34.51 | -23.94% | -$43.5 | 1. 비트코인의 지정학적 부상에 따른 코인 거래소인 로빈후드의 주가 상승 기대 |
미국 국채 (단기) |
$982.06 | 4 | $984.83 | 0.28% | $ 11.08 | 1. 국채 금리가 높았으며, 트럼프가 의도적으로 금리를 인하하려는 모습이 보여 국채 구매 |
총 매입금액 | $ 5547.4 (8,090,888원)(1달러 환율 = 1458.51원으로 계산) | |||||
현재 금액 | $ 5300.59 (7,735,166원) (1달러 환율 = 1458.51원으로 계산) | |||||
총 수익 | -$ 246.81(- 4.45%) |
2. 해외주식 매도
티커 | 평단가 | 수량 | 판매가 | 수익률 | 총 순익 | 매매 사유 |
BBAI | $ 7.68 | 40 | $ 3.08 | -59.9% | $-184 | 1. 관세 정책에 따른 하락에 대비하여, 리스크가 큰 중소형주 기업들 일괄 매매 |
총 매도금액 | $ 123.2(179,700원)(1달러 환율 = 1458.51원으로 계산) | |||||
총 수익 | -$ 184(-268,987원)(-59.9%) (1달러 환율 = 1458.51원으로 계산) |
3. ISA 매도
종목 | 평단가 | 수량 | 판매가 | 수익률 | 총 순익 | 매매 사유 |
KODEX 미국달러 선물 | 14,502원 | 45 | 14,235원 | -1.84% | -12,015원 | 원 달러가 안정화 되고 있었으며, 연금저축에 투자를 하기위해 일부 매도 |
총 매도금액 | 640,575원 | |||||
총 수익 | - 12,015원(-1.84%) |
4. 연금저축 매수
종목 | 평단가 | 수량 | 4월 7일 기준 가격 | 수익률 | 총 순익 | 매매 사유 |
TIGER 차이나 항생 테크 | 9,550원 | 23 | 8,430원 | - 11.73% | - 25,770원 | 중국의 경제 부양 정책에 따라 중국 기술 기업등의 주가 상승 기대 |
RISE 미국 나스닥 100 | 22,065원 | 11 | 19,590원 | - 11.22% | -32,185원 | 미국은 언제나 상승한다 |
ACE 미국빅테크 TOP7 PlUS | 17,540원 | 11 | 14,895원 | - 15.08% | - 29,095원 | 미국의 상승은 AI 대표기업들이 이끈다 |
총 매입금액 | 655,305원 | |||||
현재 금액 | 573,225원 | |||||
총 수익 | - 82,080원(- 12.52%) |
5. 암호화폐 매수
심볼 | 평단가 | 수량 | 현재가 | 수익률 | 총 순익 | 매매 사유 |
BTC | 131,846,788원 | 0.00650423 개 | 122,348,000원 | -7.15% | -61,305원 | 1.미국이 달러의 현재 지위를 유지하면서, 중국 러시아등을 견제할 수 있는 수단이 암호화폐라고 생각 |
총 매입 금액 | 857,527원 | |||||
현재금액 | 796,222원 | |||||
총 수익 | -61,305원(-7.15%) |
6. 총정리
종목 | 투자금액 | 4월7일 기준 금액 | 수익률 |
해외주식 매수 | $ 5547.4 (8,090,888원) | $ 5300.59 (7,735,166원) | -4.45% |
암호화폐 매수 | 857,527원 | 796,222원 | -7.15% |
연금저축 매수 | 655,305원 | 573,225 원 | -12.52% |
총 투자금액 | 9,603,450원 | ||
수익률 | -5.19%(-498,837원) |
7. 결론
2월이 가장 추운줄 알았지만, 3월이 가장 추운 한 달이었다.
그렇기에 채권을 제외하면 투자를 1,2월 대비 많이 줄였으며, 그럼에도 불가하고 이미 나스닥과 S&P500은 200일선이 깨졌으며, 현재 극강의 공포 수준인 주식장이었다.
정리를 하기 전 이번에는 뇌동매매를 하지 않았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정리를 통해 뇌동매매를 했던 점이 발견되었다
당분간은 엄청 힘든달이 될 것 같아 보이는 만큼, 정신 차리고 버티기 모드에 돌입해야 할 것 같다.
8. 4월 투자 계획
이미 지표들이 200일선을 깨졌고, VIX 지수가 역대급으로 상승한 만큼 4월에도 엄청난 변동성이 예고되는 한 달이다.
그렇기에 4월에는 우량주, 암호화폐 등을 무리한 투자보다는 적립식 매수로 꾸준하게 매수해 나가면서 이 하락장을 버텨볼 생각이다.
반응형
'자기 계발 > 경제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이 조정장일까 하락장일까 판단하기 1 - KCFSI (1) | 2025.04.03 |
---|---|
세마녀의 날, 폭발적인 변동성과 투자 기회! 어떻게 대응할까? (1) | 2025.03.17 |
CPI 지수의 중요성과 투자 전략: 시장의 반전을 기대하며 (1) | 2025.03.11 |
트럼프 풋이란 무엇인가? 시장 안정화의 기대와 한계 (3) | 2025.03.05 |
2월 투자 정리 (2) | 2025.03.04 |